네트워크 전송 데이터 - 헤더/페이로드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크게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됩니다.
헤더(Header)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프로토콜, 송신자 및 수신자의 주소, 데이터의 길이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헤더는 일종의 소포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소포를 보낼 때는 소포에 대한 정보(받는 사람, 보내는 사람, 우편번호 등)를 적어서 붙인 봉투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페이로드(Payload)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보낼 때, 헤더에는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제목 등의 정보가 포함되고, 페이로드에는 실제 이메일 내용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페이로드는 일종의 소포 내부에 들어있는 실제 내용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구성된 데이터는 전송 과정에서 여러 가지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가 안전하게 전송됩니다. 이 과정에서 암호화 등의 보안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전송과 관련된 프로토콜
프로토콜 | 용도 | 설명 |
TCP/IP | 데이터 전송 |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패킷 전송 중 손실이 발생할 경우 재전송을 요청합니다. |
HTTP | 웹 페이지 요청 및 응답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응답하는 데 사용됩니다. |
FTP | 파일 전송 |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SMTP | 이메일 전송 | 이메일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DNS |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변환 | 인터넷 상에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연결해주는 시스템입니다. 도메인 이름으로 접근한 웹 사이트의 IP 주소를 찾아주는 기능을 합니다.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상관리 도구의 기능 (0) | 2023.04.16 |
---|---|
보안 공격 용어 (0) | 2023.04.16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단계 (각 정규화 별 예시) (1) | 2023.04.15 |
공개키 암호방식(Asymmetric Key Cryptography), 대칭키 암호방식(Symmetric Key Cryptography) (0) | 2023.04.15 |
스니핑(Sniffing)과 스푸핑(Spoofing) (0) | 2023.04.15 |
댓글